비상장주식 대주주 요건
직전사업연도 종료일 현재 보유 주식 합계액이
4% 이상 또는 10억 원 이상인 경우
(벤처기업의 경우+일반 비상장주식 거래소에서 거래된 경우) 4% 또는 10억 원 이상인 경우
(벤처기업인 경우+협회 또는 종합금융투자사업자를 통해 거래된 경우) 4% 또는 40억 원 이상인 경우
+) 협회란? K-OTC, 코넥스
+) 종합금융투자사업자란? 미래에셋대우, NH투자증권, 삼성증권, KB증권, 한국투자증권, 신한금융투자, 메리츠종금증권, 하나금융투자, 키움증권
🚨 대주주 기준 요건은 '직전사업연도 종료일' 기준!
직전사업연도 종료일: 12월 31일
그러나 대주주는 '주식 보유현황'으로 판단되고, '주식 보유현황'은 대금청산일인 '결제일'을 기준으로 함.
대금결제는 계약체결일로부터 2일이 지나고 이루어짐.
따라서 12월 28일 체결된 결제까지만 보유 주식으로 반영됨.
🚨대주주 판단은 양도한 해가 아닌, '직전사업연도 종료일' 기준으로 '대주주였냐, 아니었냐'로 판단합니다!🚨
보유 주식이 4% 이상인지 알아보기
<방법 1. 종목명 + 주식 수 검색하기>
예시) 구글에 '종목명 + 주식 수'를 검색한 경우
<방법 2. 38커뮤니케이션 등 거래소에서 종목 정보 찾기>
<'38커뮤니케이션'을 기준으로>
👉1단계: '38커뮤니케이션'에 접속하여 종목을 선택한다.
👉2단계: '기업개요'를 선택한다.
👉3단계: '전체 주식 수'를 확인한다.
예시) 38커뮤니케이션에서 종목 정보를 찾은 경우
👉4단계: 내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 수와 비교하여 4% 이상인지 확인한다.
보유 주식 합계액이 10억/40억 이상인지 알아보기
🚨대주주 판단은 양도한 해가 아닌, '직전사업연도 종료일' 기준으로 '대주주였냐, 아니였냐'로 판단합니다!🚨
<직전사업연도 종료일 당시 주가 확인하기>
<'38커뮤니케이션'을 중심으로>
👉1단계: 오른쪽 내비게이션 바에서 '장외주식시세'를 선택한다.
👉2단계: '일자별 시세조회'에 전년도 12월 30일을 넣는다. (31일은 휴장일)
👉3단계: 주식 종목별 '기준가'를 확인한다.
예시) 38커뮤니케이션에서 일자별 시세 조회를 한 경우